시편 64편 1~10

1. 하나님이여 나의 근심하는 소리를 들으시고 원수의 두려움에서 나의 생명을 보존하소서

2. 주는 나를 숨기사 행악자의 비밀한 꾀에서와 죄악을 짓는 자의 요란에서 벗어나게 하소서

3. 저희가 같이 자기 혀를 연마하며 화살 같이 독한 말로 겨누고

4. 숨은 곳에서 완전한 자를 쏘려 하다가 갑자기 쏘고 두려워하지 않도다

5. 저희는 악한 목적으로 서로 장려하며 비밀히 올무 놓기를 함께 의논하고 하는 말이 누가 보리요 하며

 6. 저희는 죄악을 도모하며 이르기를 우리가 묘책을 찾았다 하나니 사람의 뜻과 마음이 깊도다

7. 그러나 하나님이 저희를 쏘시리니 저희가 홀연히 살에 상하리로다

8. 이러므로 저희가 엎드러지리니 저희의 혀가 저희를 해함이라 저희를 보는 자가 머리를 흔들리로다

9. 모든 사람이 두려워하여 하나님의 일을 선포하며 행하심을 깊이 생각하리로다

10. 의인은 여호와를 인하여 즐거워하며 그에게 피하리니 마음이 정직한 자는 자랑하리로다

 

다윗의 영장으로 노래.

다윗의 가운데 그는  그렇게 갈등이 많았는가? 인간관계가 평탄치 못했는가?  정말 그러했다. 왕이 되기 전에도 그랬고, 왕이 후에도 그랬다. 사람이 권세가 많다고 인간관계가 정리가 되는가? 그렇지 않다.  재물이 많던 적던 인간관계의 어려움은 있다.  다윗은 이렇게 인간관계로 힘이 들었다.

왕이 되기 전에는 사울 때문에, 왕이 후에는 압살롬 때문에 인간관계의 갈등이 있었다.  다윗과 사울은 장인과 사위의 관계였고, 압살롬과는 부자관계였다.  이렇듯 인간관계의 어려움은 전혀 모르는 사람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다.  생면부지의 사람들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가까운 사람들, 알고 지내던 사람들 때문에 마음 아프고 속을 썩게 되지 모르는 사람때문에는 생기지 않는 것이다.  오바마나 롬니 후보 때문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가까운 사람, 친했던 사람, 인생이 진행 되면서 인생에 들어온 사람들 때문에 그러한 일들이 생기게 된다.  그러면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나님이여 나의 근심하는 소리를 들으시고 원수의 두려움에서 나의 생명을 보존하소서

다윗은 하나님께 호소를 하였다.   3 에서 6 까지 다윗의 원수가 다윗을 악날하게 괴롭힘을 보여준다.   다윗을 겪었던 두가지 대표적인 인간관계의 어려움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공통점은 경우 악날하게 다윗을 죽이려 하였다는 것이고,  차이는 사울의 경우는 다윗의 없고, 애매히 고난을 받았다.  다윗은 열심히 충성했던 밖에는 없는데, 공연히 사울이 다윗을 미워했다. 이것은 사울이 문제가 있었던 것이고, 다윗은 애매히 고난을 받은 것이다.  그러나 압살롬의 경우는 다윗이 자초한 것이다.  자기 속에서 아들이 아버지에게 대들고 아버지를 죽이려고 했던 원인이  다윗이 밧세바 사건으로 범죄한 하나님께서 경고하신 그대로 다윗에게 일어난 것이다.  저가 만일 죄를 범하면 내가 사람 막대기와 인생 채찍으로 징계하려니와”(삼하 7:14)
극심한 고통이었지만 다윗이 자초한 것이었다.

우리에게도 인간관계에서 오는 고통 중에 두가지 성격이 있을 것이다. 전혀 나에게는 잘못이 없지만 공연히 상대방이 나를 괴롭히는 애매히 겪는 곤란이 있지만, 하나는 내가 자초한 내가 문제의 소지가 불행한 인간관계가 있을 수가 있다.  그럴때 어떻게 행해야 하는가?  다윗은 어떻게 하였는가?

사울과 압살롬의 경우에는 너무 악날하게 다윗을 죽이려고 했다.  혀를 활같이 날카롭게 해서 말로 그를 겨냥하고 그를 괴롭혔다.  말은 칼과 같다. 죽고 사는 것이 혀의 권세에 달렸다는 처럼, 정말 말은 사람을 베고 상하고 아프게 수가 있다.  그러나 우리의 삶속에 우리를 향한 비방과 중상이 까닭없이 떠돈다면 무서워 하지 말라.  잠26:2 까닭 없는 저주는 참새의 떠도는 것과 제비의 날아가는 같이 이르지 아니 하느니라”  우리가 저주를 받을 까닭이 없다면, 아무리 그것이 떠돈다 지라도 그것이 우리를 상하게 없다.  까닭없는 저주는 이르지 않도록 하나님께서 막아주신다.  그것이 나의 잘못으로 인하여 생긴 고통이던 내가 애매히 받는 고통이던, 고통을 당할 우리에게 세가지가 필요하다.  첫째는 하나님께로 피해야 한다.  오직
주에게 피하는 자는 기뻐하며 주의 보호로 인하여 영영히 기뻐 외치며 주의 이름을 사랑하는 자들은 주를 즐거워하리이다. 여호와여 주는 의인에게 복을 주시고 방패로 같이 은혜로 저를 호위하시리이다. (시5:11~12) 주께
피하는 자를 일어나 치는 자에게서 오른손으로 구원하시는 주여 주의 기이한 인자를 나타내소서”(시17:7)

피하라는 것이다. 환란 풍파 많은 세상가운데, 우리의 고통과 괴로움이 닥쳐올 때, 만세반석이신 주님께 피하라는 것이다.  피하는 자는 주님께서 받아주시고, 지켜주시고 보호해 주실 텐데, 주님께 피하지를 않는 것이 문제이다.  피하지 않아서 그냥 당하고, 괴롭고, 고통스러운 삶을 살게 되는 것이다.

둘째는 맡기라는 것이다.  우리에게 괴로움을 가져다 주는 사람을 주님께 맡기라는 것이다.   맡기지 않고, 내가 나서서 맞서 싸우겠다 그러면 우리의 인생은 너무 비참해 진다.   사람은 맡기겠지만 내가 인간 만큼은 내가 맡겠다 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게 나서지 말라.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사랑하는 자들아 너희가 친히 원수를 갚지 말고 진노하심에 맡기라 기록되었으되 원수 갚는 것이 내게 있으니 내가 갚으리라고 주께서 말씀하시니라 “ (롬12:19)  너무 악한자가 우리를 괴롭히고 악한 말로 활을 쏘듯이 우리를 쏘려 때,  우리가 맞서서 쏘려 하지 말고 맡기시면 어떻게 되는가 오늘 본문 8절에 나온다. 이러므로 저희가 엎드러지리니 저희의 혀가 저희를 해함이라”  근거 없이 저희를 비방하고 중상하고 저주하는 말을 해대는 사람이 참새처럼 떠들다가 자기에게로 그것이 돌아간다는 것이다.  우리가 그런 자리에 서있으면 안된다.  남을 비방하고 중상하고 말로 해하려 하고 화살을 쏘듯이 말로 쏘아대는 사람은 부메랑처럼 자기 에게로 돌아온다.  말은 그렇다는 것이다. 우리가 그런 자가 되지 말자.  우리 원수가 그런 말로 혀로 쏘아 때, 그것을 하나님께 맡기 저희 혀로 저희 스스로를 상하게 뿐이라는 것이다.    욕을 받으시되 대신 욕하지 않으시고, 고난을 받으시되 위협하지 않으시고 오직 공의로 심판하시는 하나님께 부탁하셨던 예수님 처럼, 우리가 욕을 받을때 대신 욕하지 말고 고난을 받을 ‘두고보자’하고 위협하지 말고 공의로 심판하시는 하나님께 맡기길 바란다.  맡겼으면 맡겨야지 다시 찾아오지 말라.  ‘이제 인간을 하나님께 맡겼다’ 놓고, 또다시 인간의 얼굴을 마음속에 떠올리고 밤낮 묵상하고 인간을 깊이 생각하면 우리가 깊이 고통을 당하게 된다.  9절에 모든 사람이 두려워하여 하나님의 일을 선포하며 행하심을 깊이 생각하리로다” 
하나님의 행하심을 생각해야지 자꾸 사람의 악한일을 생각하면 스스로를 괴롭힐 뿐이다. 

셋째로  주님을 즐거워 해야 한다. 10절  의인은 여호와를 인하여 즐거워하며 그에게 피하리니 마음이 정직한 자는 자랑하리로다

의인은 여호와를 인하여 즐거워한다. 주님께 피하고 맡긴 다음에는 사람을 잊어야 한다.  ‘Forgive
& Forget’  맡긴 다음에는 잊어야 한다.  오직 일, 즉, 뒤에 있는 것은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잡고 푯대를 향하여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위에서 부르신 부름의 상을 위하여 좇아가야 한다.  하나님께서 부르신 사명을 향해서 좇아가야 한다.  오래 지난 과거에 얽메여서 스스로를 괴롭히고 스스로를 주저 앉히는 그런 자리에 서지 말아야 한다.

주님께 피하고 맡기고 즐거워하며 사는 우리가 되자.

 

2023-08-16T22:10:17-0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