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42편1~11절
1. 하나님이여 사슴이 시냇물을
찾기에 갈급함 같이 내 영혼이 주를 찾기에 갈급하니이다
2. 내 영혼이 하나님 곧 생존하시는
하나님을 갈망하나니 내가 어느 때에 나아가서 하나님 앞에 뵈올꼬
3. 사람들이 종일 나더러 하는
말이 네 하나님이 어디 있느뇨 하니 내 눈물이 주야로 내 음식이 되었도다
4. 내가 전에 성일을 지키는
무리와 동행하여 기쁨과 찬송의 소리를 발하며 저희를 하나님의 집으로 인도하였더니 이제 이 일을 기억하고 내 마음이 상하는도다
5.내 영혼아 네가 어찌하여
낙망하며 어찌하여 내 속에서 불안하여 하는고 너는 하나님을 바라라 그 얼굴의 도우심을 인하여 내가 오히려 찬송하리로다
6. 내 하나님이여 내 영혼이 내 속에서 낙망이 되므로 내가
요단땅과 헤르몬과 미살산에서 주를 기억하나이다
7. 주의 폭포 소리에 깊은
바다가 서로 부르며 주의 파도와 물결이 나를 엄몰하도소이다
8. 낮에는 여호와께서 그 인자함을
베푸시고 밤에는 그 찬송이 내게 있어 생명의 하나님께 기도하리로다
9. 내 반석이신 하나님께 말하기를
어찌하여 나를 잊으셨나이까 내가 어찌하여 원수의 압제로 인하여 슬프게 다니나이까 하리로다
10. 내 뼈를 찌르는 칼 같이
내 대적이 나를 비방하여 늘 말하기를 네 하나님이 어디 있느냐 하도다
11. 내 영혼아 네가 어찌하여
낙망하며 어찌하여 내 속에서 불안하여 하는고 너는 하나님을 바라라 나는 내 얼굴을 도우시는 내 하나님을 오히려 찬송하리로다
==================================================
시편
42편은 하나님을 향한 갈망을 노래한 것이다. 낙망스러운 현실의 벽을 넘어 희망을
노래했다. 하나님을 향한 갈망을 목이
마른 사슴에 비유했다. 1절
– 사슴은 산중턱에서 놀다가도 갑자기 목이 마르면 정신없이 물을 마시러 산 아래로 질주 한다고 한다. 워낙 참을 수가 없어서 달리면서 가시에 찔리고 다쳐도 물을 먹겠다는 생각 하나로 질주한다고 한다.
과연 나는 그
목마른 사슴처럼 하나님을 갈망하는가? 무엇이 나의 하나님에 대한 갈망을 잠재우는가?
하나님을 향한 나의 사랑을 망치는 세상의 물과 주염 열매 때문이다.
(요한 1서 2:15) “이 세상이나 세상에 있는 것들을 사랑치 말라 누구든지 세상을 사랑하면 아버지의 사랑이 그 속에 있지 아니하니.”
여기서
‘아버지의 사랑‘은 목적격 소유격이다. 즉,
‘아버지를 사랑하는 사랑‘ 을 말한다. 왜 우리 마음에 아버지를 사랑하는 그 마음이 그렇게 부족한가?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 보다 세상 낙이 더 즐겁기 때문이다.
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Appetizer 를 잘못 먹으면 입맛을 버린다.
몸에 좋은 것들(통밀, Lean Protein, 채소, 과일등)을 먹으려고 하는데, 그 전에 쵸콜릿이나, 케익을 먹어버리면 좋은 음식을 향한 식욕이 다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왜 하나님을
향한 그 갈망이 이렇게 빈약한가? 그것은 세상 낙을 즐기고, 세상이 가져다 주는 것들을 내가 원하고 사모할 때, 우리 마음에는 하나님을 향한 갈망도 사랑도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가장 큰 계명,
(마가복음
12:30) “네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하신 것이요 ”
이것을 주셨는데,
왜 우리는 하나님을 사랑하라는 가장 큰 기본 계명도 지키지 못하며 살아가는가? 왜
내 안에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그 마음이 다 사라졌는가? 우리가 그 마음이 없었던 것이 아닌데,
마치 건강한 식욕이 좋은 사람을 잘못된 음식이 망치듯이, 내 안에 하나님을 향한
사랑, 갈망을 세상의 주염열매가 구정물이 다 망쳐놨다는 것이다. 그래서 하시는 말씀이
(요1서 2:15~16) “이 세상이나 세상에 있는 것들을 사랑치 말라 누구든지 세상을 사랑하면 아버지의 사랑이 그 속에 있지 아니하니, 이는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이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이니 다 아버지께로 좇아 온 것이 아니요 세상으로 좇아 온 것이라”
이것은 하나님께로
온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세상으로 부터 온것이기에, 세상 사랑이 하나님의 사랑을 다 망쳐 놓았다. 그래서, 우리의 삶에 변화, 개혁이 필요하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주는 물을 먹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나의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 (요4:14)
주님 주시는
생명수 샘물 보다도, 세상이 주는 물은 내 갈증을 결코 해결해 줄 수 없는데
그것으로 인하여 내 안에 하나님에 대한 갈망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되는가? 우리 마음속에 결단이 필요하다. 세상이 아무리 나를 유혹하고 미혹해도 난 결단코 하나님을 향한
사랑을 망치지 아니하리라. 하고 결단해야 한다. 그러려면 우리의 삶이
개혁되어야 한다. 우리의 삶이 개혁되기
위해서는 우리의 삶이 단순해 져야 한다. 우리의 마음 너무 많은 것으로 나뉘어져 있으면, 하나님을 향한 갈망이 사라지고 말 것이다.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주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그러나 몇 가지만 하든지 혹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눅
10:41~42)
너무 많은 일들로
인해서 내가 고민하고 걱정하고 내 마음이 산란해 지면 우리는 하나님을 향한 갈망을 잃어 버리게 된다.
우리의 생활을 단순화 해 보자. 생활의 우선순위를 재 조정해 보자.
우리의 삶이 하나님을 향한 사랑과 갈망이 더 커지는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개혁해 보자. 그래서 어떠한 장애물이 놓여 있다 하더라도 하나님을 향해
질주해 나오는 그런 갈망과 사랑을 갖고 살게 되기를 바란다.
8절 – 낮과 밤은 우리 하루의 24시간을 이야기 할 수도 있지만, 우리의 삶은 낮과 밤이 교차하며 나타난다. 우리의 삶이 형통한 낮도 있지만 곤고한 밤도 있는
것이다. 그런데, 낮에도 하나님이 인자함을 베푸시고, 내 인생의 밤에도 찬송이 내게 있어서 밤중에 부르는 노래가
내게 있어서, 그 찬송으로 생명의 하나님께 기도하며 살리라 하고 다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찬송은 곡조있는
기도이다. 찬송은 기도이다. 내 영혼이 밤중을 통과하고 있다 하더라도, 하나님께 드릴 노래가 있다면, 찬송이 있다면 이것이 바로 하나님께 드릴 기도가 된다는 것이다. 비록 우리가 처한 현실이 우리의
마음속에 낙망을 가져다 준다 할지라도 심령의 눈을 들어 하나님을 앙망하므로 희망의 빛을 보고 하나님이 우리의 앞길을 환하게 열어 주실 때,
그 빛을 보고 앞으로 나아가길 바란다.
11절 – 내 영혼이 현실의 여러 어려움과 장애물 앞에서 낙망하고 불안할 때, 너는 하나님을 바라라.
우리가 심령의 눈을 들어 하나님을 바라 볼 수만 있다면 하나님을 의지하며 산다면, 내 얼굴을 도우시는 하나님을 찬송하며 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시편42편은 하나님의 향한 사랑, 믿음을 우리에게 가르쳐 주고 있다. ‘너는 하나님을 바라라‘ 가 바로 믿음이다. 믿음은 곧
신앙이다. 우리의 현실이 암울하고 사방이 다 막혀 있는 것 같아도 하늘은 뚫려있다. 그럴때 하나님을 바라보고, 의지하고, 신뢰한다면,
우리의 앞길을 환하게 열어주시고, 우리의 기도의 제목들이 이루어 지게 될것이다.